사이버 조선왕조 북궐
- '북궐(北闕)'은 한성부
북쪽에 위치한 정궁(正宮) 경복궁(慶福宮)의 별칭입니다 : 경복궁 현황으로 (클릭) -
궁궐 | 설명 | 별칭 |
경복궁(景福宮) | 국왕이 정식으로 임어(臨御)하여 국정을 재가하는 법궁(法宮) | 북궐(北闕) |
창덕궁(昌德宮) | 국왕이 필요할 때에 임어하는 이궁(離宮) | 동궐(東闕) |
창경궁(昌慶宮) | 창덕궁 동편에 위치한 궁궐 | |
경희궁(慶熙宮) | 창덕궁이 법궁이던 시절의 이궁인 경덕궁(慶德宮)의 개칭 | 서궐(西闕) |
경운궁(慶運宮) | 고종(高宗) 연간에 임어한 궁궐 | 덕수궁(德壽宮) |
소개 | 경복궁(景福宮)은 1394년(태조3) 12월에 영건 공사를 시작하여 이듬해 9월 29일에 완료되었다. 1395년(태조4)에 12월에 국왕이 임어(臨御)하여 법궁(法宮)으로서의 지위를 발휘하였으며, 1592년(선조25)에 발발한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 그로부터 약 260년이 지난 1865년(고종2) 4월에 중건(重建) 사업이 시작되어 1868년(고종5) 6월에 완공된 후, 1896년(고종33)까지 법궁으로서의 기능을 다시 수행하였다. |
||
현재 | 1911년에 경복궁 부지 소유권이 조선총독부로 전환된 후, 1915년 9월에 경복궁 궐내에서 시정5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始政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를 개최하면서 내전(內殿)과 궐내각사(闕內各司) 대부분을 파괴하였다. 1926년에 조선총독부 건물이 흥례문(興禮門) 위치에 건설되고 1927년에 정문 광화문(光化門)이 동문 건춘문(建春門)의 북쪽 위치로 이건(移建)되었다. 1929년 10월에 조선박람회(朝鮮博覽會)를 열고 1935년에 총독부 박물관을 지으면서 건청궁(乾淸宮) 등의 경복궁 북쪽 권역이 다시 파괴되었으며, 1939년에는 북원(北苑) 부지에 총독 관저가 들어섰다. 민국(民國)에서 경복궁 복원 사업을 펼치고 있으나 여전히 국립고궁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등이 경복궁의 원형을 훼손하고 있다. |
||
연혁 |
|
전각 | 설명 | 별칭 |
근정전(勤政殿) | 국가 공식 의례와 조회(朝會)를 행하는 공간 | 정전(正殿) |
사정전(思政殿) | 국왕의 국정 사무를 보는 어전(御殿) 공간 | 편전(便殿) |
강녕전(康寧殿) | 국왕의 개인 생활, 침식 공간 | 대전(大殿) |
교태전(交泰殿) | 왕비의 생활 공간 | 중궁전(中宮殿) |
자선당(資善堂) | 세자의 생활 공간 | 동궁(東宮) |
비현각(丕顯閣) | 세자의 학문 강학 공간 | |
계조당(繼照堂) | 세자의 사무 공간 | 정당(正堂) |
만춘전(萬春殿) | 사정전 부속 편전 | |
천추전(千秋殿) | 사정전 부속 편전 | |
연생전(延生殿) | 강녕전 부속 동소침(東小寢) | |
경성전(慶成殿) | 강녕전 부속 서소침(西小寢) | |
연길당(延吉堂) | 강녕전 부속 공간 | |
응지당(膺社堂) | 강녕전 부속 공간 | |
흠경각(欽敬閣) | 자격루(自擊漏) 설치 공간 | |
함원전(含元殿) | 내전 공간 | |
수정전(修政殿) | 집현전(集賢殿),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 등의 업무 공간 | |
경회루(慶會樓) | 연회 공간 | |
광화문(光化門) | 경복궁 정문(正門) | |
흥례문(興禮門) | 경복궁 중문(中門) | 홍례문(弘禮門) |
근정문(興禮門) | 근정전 정문 |
전각 | 설명 | 별칭 |
자미당(紫微堂) | 내전 공간 | |
인지당(麟趾堂) | 내전 공간 | |
복회당(福會堂) | 내전 공간 | |
난지당(蘭芝堂) | 내전 공간 | |
보월당(寶月堂) | 내전 공간 | |
자운당(紫雲堂) | 내전 공간 | |
함정당(含靜堂) | 내전 공간 | |
자경전(慈慶殿) | 대비의 생활 공간 | 대비전(大妃殿) |
협경당(協慶堂) | 대비전 공간 | |
집희당(集禧堂) | 내전 공간 | |
제수합(齊壽閤) | 내전 공간 | |
영보당(永寶堂) | 내전 공간 | |
만경전(萬慶殿) | 내전 공간 | |
건복각(建福閣) | 내전 공간 | |
만화당(萬和堂) | 내전 공간 | |
통화당(通和堂) | 내전 공간 | |
흥복전(興福殿) | 내전 공간 | 빈궁(嬪宮) |
광원당(廣元堂) | 내전 공간 | |
집경당(集慶堂) | 내전 공간 | |
함화당(咸和堂) | 내전 공간 | |
선원전(璿源殿) | 역대 국왕의 어진(御眞)을 모신 공간 | |
태원전(泰元殿) | 선대왕 장례시 관을 모셔두는 공간 | 빈전(殯殿) |
영사재(永思齋) | 태원전 재실(齋室) | |
공묵재(恭默齋) | 태원전 재실 | |
문경전(文慶殿) | 선대왕의 신위(神位)를 모셔두는 공간 | 혼전(魂殿) |
회안전(會安殿) | 국상(國喪) 공간 | |
집옥재(集玉齋) | 사신 접대 및 서재 공간 | |
보현당(普賢堂) | 내전 공간 | |
팔우정(八隅亭) | 서고 공간 | |
장안당(長安堂) | 건청궁(乾淸宮)의 국왕 공간 | |
곤녕합(坤寧閤) | 건청궁의 왕비 공간 | |
옥호루(玉壺樓) | 건청궁의 왕비 침전 공간 | |
관문당(觀文堂) | 건청궁 봉안각(奉安閣) | 관문각(觀文閣) |
향원정(香遠亭) | 휴식 공간 | 후원(後苑) |
육우정(六隅亭) | 휴식 공간 |
- '북원(北苑)'은 경복궁 북문(北門)인 신무문(神武門) 밖 후원(後苑) 영역으로, 경복궁 안 후원과 구별됩니다 -
전각 | 설명 | 별칭 |
경농재(慶農齋) | 농사 기원 공간 | |
양정재(養正齋) | 경농재 부속 공간 | |
융문당(隆文堂) | 문과 시행 공간 | |
춘안당(春安堂) | 융문당 부속 공간 | |
융무당(隆武堂) | 무과 시행 공간 | |
경무대(景武臺) | 과거 시행 및 군사 훈련 공간 | |
옥련정(玉蓮亭) | 휴식 공간 | |
오운각(五雲閣) | 휴식 공간 |